안녕하세요! Dr. Lee’s trivia 입니다. 저번 포스팅은 통증 없는 혈변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황달에 좋은 음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황달 자체에 ‘특별히 좋은 음식’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과 간 건강을 중심으로 식이요법을 이해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황달이란 무엇인가요?

황달(jaundice)은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으로, 혈액 내 빌리루빈(bilirubin)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때 발생합니다. 이 상태를 의학적으로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이라 부릅니다. 빌리루빈은 오래된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성되는 노란색 색소인데, 간에서 이를 처리하고 담즙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기면 체내에 축적되며 황달로 나타납니다.

황달은 병인가요?

황달은 자체가 ‘질환’이 아닌 다양한 질병의 증상입니다. 즉, 감기처럼 하나의 병이 아니라 간염, 담관 폐쇄, 유전 질환(Gilbert 증후군 등) 또는 특정 약물 부작용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간 기능 저하 (예: 간염, 간경화)
  • 담도 폐쇄 (예: 담석, 췌장암)
  • 용혈성 질환 (적혈구 과다 파괴)
  • 신생아 간 미성숙
  • 유전성 대사질환 (Crigler-Najjar 증후군, Dubin-Johnson 증후군 등)

황달에 좋은 음식은 있을까?

다시 말씀드리지만 황달에 좋은 음식은 없습니다. 하지만, 황달의 원인이 되는 간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즉, 황달 그 자체보다는 간 건강을 위한 식습관이 핵심입니다.

황달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식생활 습관

1. 가공식품과 인공첨가물 줄이기

트랜스지방, 과도한 당류, 방부제가 많은 음식은 간에 해롭습니다. 황달의 근본 원인인 간 질환(특히 지방간이나 간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예시:

  • 가공 햄, 소시지
  • 인스턴트 라면
  • 패스트푸드

2. 무분별한 한약, 건강보조식품 피하기

황달 환자나 간 질환 환자들이 자주 빠지는 함정이 바로 “간에 좋다는 한약”과 검증되지 않은 건강기능식품 복용입니다.

실제로 간독성이 있는 약초나 성분이 포함된 보조제를 황달에 좋은 음식이라고 속여서 파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황달을 악화시키거나 간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절주 또는 금주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며 간세포를 손상시킵니다. 특히 황달의 원인이 간염이나 간경변일 경우 술은 독약이 될 수 있습니다.

4. 충분한 수분 섭취

물은 빌리루빈의 체내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전반적인 신진대사를 돕습니다. 하루 1.5~2리터 이상을 권장하며, 탄산음료나 카페인이 강한 음료보다는 순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식사 거르지 않기 & 금식 피하기

길버트 증후군이나 신생아 황달처럼 간의 포합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오랜 금식은 빌리루빈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식사는 빌리루빈 대사를 돕는 데 필수입니다.


위 포스팅은 서울대학교 의학정보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